1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목적 ※ 오리엔테이션: 전반적인 강의계획을 설명하고 학습과정에 대한 소개 및 강의 진행방식 설명
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및 목적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.
-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회복지실천의 개념
-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기능
- 사회복지실천의 초점 |
2차시 |
사회복지실천대상 및 구성요소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대상 및 구성요소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 유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- 사회복지실천대상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개입체계의 수준에 따른 유형
- 사회복지실천대상 |
3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회복지실천의 정의
-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 및 내용
- 사회복지실천의 목적과 목표 |
2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
2) 강의목표:
- 자선조직협회의 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.
- 인보관 운동의 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.
- 사회복지 전문적 교육의 역사적 발달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서구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|
2차시 |
한국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1) 강의주제: 한국사회복지실천의 발달과정
2) 강의목표:
- 한국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.
- 한국사회복지실천현장의 문제점을 설명할 수 있다.
- 한국사회복지실천현장의 과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한국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
- 한국사회복지실천현장의 문제점
- 한국사회복지실천현장의 과제 |
3차시 |
사회복지실천 패러다임과 방법론의 변화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 패러다임과 방법론의 변화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 패러다임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.
- 전통적 방법론과 통합적 방법론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회복지실천 패러다임의 변화
- 전통적 방법론과 통합적 방법론 |
3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 가치와 윤리의 관계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 가치와 윤리의 관계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과 가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- 사회복지전문직의 가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- 지식, 가치, 윤리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회복지실천의 가치
- 사회복지의 전문윤리
- 사회복지실천의 핵심가치 |
2차시 |
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갈등과 해결책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갈등과 해결책
2) 강의목표:
- 가치갈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- 가치갈등의 해결책을 설명할 수 있다.
-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와 윤리적 딜레마를 설명할 수 있다.
- 가치관을 위한 자기인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회복지 가치철학의 주요 요소
-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갈등
-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윤리적 딜레마
- 사회복지실천 윤리 수행을 위한 자기이해 |
3차시 |
사회복지실천과 윤리강령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과 윤리강령
2) 강의목표:
- 윤리적 딜레마 사례를 통해 해결책을 설명할 수 있다.
- 사회복지전문직의 윤리강령을 설명할 수 있다.
- 한국사회복지전문직의 중요한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.
- 한국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윤리적 딜레마의 사례 및 해결책
- 윤리적 의사결정의 우선순위
- 사회복지윤리의 필요성
- 사회복지전문직의 윤리강령
- 우리나라 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전문직의 핵심가치 |
4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: 환경 속의 인간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: 환경 속의 인간
2) 강의목표:
- 환경 속의 인간의 기본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.
- 개인에 대한 관점을 설명할 수 있다.
- 환경에 대한 관점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실천의 초점 : 환경 속의 인간 |
2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: 통합적 방법론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기본 틀: 통합적 방법론
2) 강의목표:
- 통합방법론의 전제와 이론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.
- 통합방법론의 개념 및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틀
- 통합방법론 |
3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생태체계관점(1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생태체계관점(1)
2) 강의목표:
- 생태체계관점의 정의 및 주요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.
- 생태체계관점의 실천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생태체계관점
- 생태체계관점의 정의와 주요개념 |
5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생태체계관점(2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생태체계관점(2)
2) 강의목표:
- 생태체계관점의 실천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.
- 생태체계관점의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생태체계관점의 실천방법
- 사례 |
2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임파워먼트 관점(1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임파워먼트 관점(1)
2) 강의목표:
- 임파워먼트패러다임의 등장배경과 이론적 기초를 설명할 수 있다.
- 임파워먼트의 정의와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임파워먼트 패러다임의 등장배경과 이론적 기초
- 임파워먼트의 정의와 과정 |
3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임파워먼트 관점(2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임파워먼트 관점(2)
2) 강의목표:
- 임파워먼트 관점에 대한 실천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.
- 임파워먼트 관점을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임파워먼트 관점의 일곱가지 방법
- 임파워먼트의 실천방법
- 사례 |
6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다문화관점(1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다문화관점(1)
2) 강의목표:
- 다문화관점의 등장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.
- 다문화관점의 주요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다문화관점의 등장배경
- 다문화관점의 정의 및 주요개념
- 문화적 역량강화 전략 |
2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다문화관점(2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다문화관점(2)
2) 강의목표:
- 다문화관점의 실천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다문화관점의 실천방법 |
3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다문화관점(3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다문화관점(3)
2) 강의목표:
- 다문화관점을 활용하여 사례에 적용하고 개입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례
- 클라이언트의 다면적 정체성과 통합
- 문화적 유능감 :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통합
- 과정 :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변화
- 클라이언트의 미시체계, 중시체계, 거시체계 |
7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레질리언스(1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레질리언스(1)
2) 강의목표:
- 레질리언스의 이론적 기초를 설명할 수 있다.
- 레질리언스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등장배경과 이론적 기초
- 정의와 구성요인 |
2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레질리언스(2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레질리언스(2)
2) 강의목표:
- 레질리언스의 구성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구성요인
- 체계에 따른 레질리언스
- 전제 및 핵심구성요인(1) |
3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레질리언스(3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관점: 레질리언스(3)
2) 강의목표:
- 레질리언스의 실천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.
- 레질리언스의 실천방법을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핵심구성요인(2)
- 실천방법 |
8주 |
1차시 |
중간고사
|
9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방법: 사회복지실천 면접(1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방법: 사회복지실천 면접(1)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.
- 사회복지실천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면접의 개념
-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목적과 특성 |
2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방법: 사회복지실천 면접(2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방법: 사회복지실천 면접(2)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의 면접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.
- 면접을 바탕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유형
- 면접을 바탕으로 하는 사회복지실천 가치 |
3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방법: 사회복지실천 면접(3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방법: 사회복지실천 면접(3)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의 면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 이론을 응용할 수 있다.
-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장소와 과정에 따른 면접기법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면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이론의 응용
-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장소와 과정에 따른 면접기법 |
10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관계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관계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의 원조관계 개념 및 기본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.
- 사회복지실천의 관계원칙을 설명할 수 있다.
-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원조관계의 개념
- 전문적인 원조관계의 기본 요소
- 사회복지실천의 관계 원칙
-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요소 |
2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과정(1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과정(1)
2) 강의목표:
- 접수의 과정 및 과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특성
- 접수 |
3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과정(2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과정(2)
2) 강의목표:
- 자료수집단계에 대한 목표 및 과업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자료 수집의 주요 목표와 과업
- 자료 수집을 위한 정보의 출처
- 문제 관련 자료 수집
- 개인 관련 자료 수집
- 환경 관련 자료 수집 |
11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과정: 사정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과정: 사정
2) 강의목표:
- 사정단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- 사정단계의 영역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정의 이해
- 사정의 영역 |
2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과정: 계획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과정: 계획
2) 강의목표:
- 계획의 8단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계획의 8단계 |
3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과정: 개입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과정: 개입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의 개입단계를 설명할 수 있다.
- 직접개입과 간접개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개입의 주요 목표와 과업
- 변화의 초점
- 직접적 개입
- 간접적 개입 |
12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과정: 평가와 종결(1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과정: 평가와 종결(1)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의 평가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.
- 사회복지실천의 평가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.
- 변화의 측정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회복지실천의 평가 |
2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과정: 평가와 종결(2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과정: 평가와 종결(2)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의 종결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.
- 종결의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회복지실천의 종결 |
3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과정: 사례적용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과정: 사례적용
2) 강의목표:
- 접수 및 자료수집 단계를 실천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.
- 사정 및 계획단계를 실천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.
- 개입단계를 실천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접수 및 자료수집 단계
- 사정과 계획단계
- 계획수립
- 개입 |
13주 |
1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기록(1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기록(1)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 기록의 목적을 설명할 수 있다.
- 사회복지실천 기록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회복지실천과 기록
- 사회복지실천 기록의 목적
- 사회복지실천 기록의 내용
- 기록과 관련하여 고려할 점 |
2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기록(2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기록(2)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 기록의 유의사항을 설명할 수 있다.
- 과정기록의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- 사회복지실천 기록유형으로 과정기록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좋은 기록과 좋지 않은 기록
- 기록을 위한 유념사항
- 사회복지실천 기록의 유형(1) |
3차시 |
사회복지실천의 기록(3) 1) 강의주제: 사회복지실천의 기록(3)
2) 강의목표:
- 사회복지실천 기록유형으로 문제중심기록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- 사회복지실천 기록유형으로 요약기록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회복지실천 기록의 유형(2) |
14주 |
1차시 |
사례관리(1) 1) 강의주제: 사례관리(1)
2) 강의목표:
- 사례관리의 등장배경 및 역사를 설명할 수 있다.
- 사례관리의 원칙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개요
- 사례관리의 역사
- 기본원칙 |
2차시 |
사례관리(2) 1) 강의주제: 사례관리(2)
2) 강의목표:
- 사례관리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.
- 사례관리의 관련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례관리의 정의와 관련된 개념들
- 사례관리와 관련된 개념들 |
3차시 |
사례관리(3) 1) 강의주제: 사례관리(3)
2) 강의목표:
- 사례관리의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.
- 사례관리의 실천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.
- 사례관리모델을 설명할 수 있다.
3) 강의세부내용:
- 사례관리의 유형
- 사례관리의 실천방법
- 사례관리모델 |
15주 |
1차시 |
기말고사
|